
Seed 투자 유치 시, 투자사의 지분을 얼마나 설정해야 할까요?
투자사에게 지분을 얼마나 설정할지 고민하시는 대표님들에게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 전달 드려요.

나스닥이 전부는 아니다 1편: 일본 TSE 상장
나스닥 외에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상장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장을 공유하려고 하며, 오늘은 첫번째 시장으로 일본을 살펴볼게요.

스타트업 미국 진출, Series Seed 투자 계약서 톺아보기
미국의 Series Seed 우선주 계약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공개된 표준 양식이 있더라도 이를 반드시 그대로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다른 계약과 마찬가지로 구체적 상황과 필요에 따라 조정이 필요할 수 있어요.

스타트업 대표가 투자자를 만날 수 있는 다섯가지 채널
스타트업이 투자자를 만나는 방법 중,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다섯 가지 채널을 소개해 드려요.

현대백화점그룹의 디지털 전환을 이끈 M&A - 이지웰페어·식권대장
M&A로 빠른 디지털 전환으로 온라인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현대백화점그룹이 진행했던 이지웰페어, 식권대장 M&A 사례를 알려드릴게요.

창업보다 더 중요한 엑싯에 대하여
많은 창업가들이 엑싯을 통해 얻은 보상으로 재정적 여유를 얻고, 새로운 도전에 나서죠. 투자자로서 스타트업 생태계에 기여하는 등 다채로운 인생 2막을 열고 있는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투자 받기 전, 주주 구성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주주 구성이 투자자에게 왜 중요한지, 그리고 기업이 주주를 잘못구성할 경우 투자결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이야기해 볼게요.

SAFE 계약, 한국과 미국은 어떻게 다를까?
조건부 지분 인수계약인 SAFE에 대하여 한국과 미국의 계약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투자유치 자료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자료 작성 시 중요한 점들
투자유치 자료를 잘 만들기 위한 '우리 회사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알려드릴게요.